통계

게슈탈트의 법칙

Chaebae 2023. 3. 30. 18:43

게슈탈트(Gestalt)는 형태(Form)이라는 뜻의 독일어인데, 사람이 무언가를 인지하는 과정에서 부분을 보는 것이 아니라 전체적인 구조를 먼저 파악한다는 것에서 게슈탈트의 법칙이 나왔다.

 

1. Law of Similarity

 

인간은 유사한 것들을 묶어서 생각하는 경향이 있다. 여기선 빨간색과 검은색을 다른 두 그룹으로 나누어서 생각하게 된다. 같은 색끼리 묶어서 지각한 것이다.

 

2. Law of Closure

 

이 경우는 선 하나로 인해 직사각형 두 개의 둘레가 생겨 두 그룹으로 나뉜 것 처럼 지각된다. 이처럼 폐쇄성의 원리는 선을 두 그룹을 나누는 구분선으로 보인다.

 

3. Law of Proximity

 

이번엔 원들 사이의 거리가 다르게 적용된 경우다. 이 경우 우리는 확실히 거리가 먼 두 그룹을 다른 그룹으로 인식하게 된다. 여기서 색깔과 폐쇄성 등등을 다 적용하면 이 원들을 4그룹, 6그룹 등으로 인지할 수 있다. 

 

4. Law of Enclosure

 

이 경우는 점들 사이의 거리로 인해 따로 인식될 수 있지만, 네모로 점들을 분리해놓아 거리가 아닌 네모 안의 그룹으로 인식이 된다. 

 

5. Law of Continuity

 

자연스럽게 s모양으로 점들이 연결되어있다고 자각한다. 연속되는 형태들도 하나의 그룹으로 인식한다.

 

6. Law of Familiarity

 

인간은 인지할 때 친숙한 방향으로 인지한다는 것이다. 자세히 보면 과일들의 집합이지만 우리에게 익숙한 인간의 모습으로 먼저 인식됨을 나타낸다.

 

이 외에도 대칭성, 연결성 등 게슈탈트의 법칙이 몇 개 나와있는데, 이 법칙에 대해 우리가 알아야하는 이유는 우리가 데이터를 시각화할 때, 인간의 기본적인 인지 패턴을 알면 전달하고자하는 바를 더 정확히 전달할 수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Figure 6.10 의 경우 박스들을 묶어줌으로서 그룹핑을 명료하게 하였고, 

Figure 6.7의 경우 색깔과 기호의 통일성 등으로 그룹핑을 명료하게 하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통계' 카테고리의 다른 글

표본 설계와 추출  (0) 2023.04.08
확률변수와 확률분포  (0) 2023.04.01